영어 표현/영상

[이코노미스트] 아이를 꼭 낳아야 할까? (2023. 03. 08.) - 1부

에스튜 2023. 6. 15. 09:29

우리 나라의 저출산 문제는 심각한 편이다.

참고로 한국의 출산율은 2020년 기준 여성 1인당 0.84명.

하지만 저출산 자체는 한국만의 문제가 아니다.

대부분의 선진국은 낮은 출산율을 보인다.

 

아이를 꼭 낳아야 하는 걸까? 

아이를 낳기 전 생각해야 하는 점은 무엇이 있고

드는 비용은 대략 얼마나 될까?

 

일을 그만두지 않고 아이를 잘 키울 수 있을까?

어떤 제도, 관습 등이 아이를 키우는데 영향을 미칠까?

 

세계 여성의 날(3월 8일)을 맞아 

이코노미스트가 출산과 육아를

경제적, 사회적으로 분석한 영상을

2부로 나누어 분석해보았다.


1부 

* 예상 소요 시간: 8-9분

 

* 순서

0. Is it worth having kids?

아이를 갖는게 가치 있는 일일까?
1. Do kids make parents happy?

부모는 아이로 인해 행복감을 느낄까?
2. Why people used to have more children

사람들이 아이들을 갖는데 익숙한 이유
3. The expense of having kids

아이를 낳고 기르는데 드는 비용
4. Parental leave

육아휴직
5. Childcare

육아
6. The “motherhood penalty”

모성 페널티란
7. The macroeconomics of children

육아의 거시경제학


Is it worth having kids?
아이를 갖는 것이 의미가 있을까?
The Economist, 8. 3. 2023.

 

Preface. Is it worth having kids?

머리말. 아이를 갖는다는 것은?

 

It’s a big decision.

쉽게 결정할 문제가 아니다.

They may be small bundles of joy, but they can cost a fortune.

작은 행복을 여럿 가져다 줄 수도 있지만 돈이 많이 필요하다

 

 

Chapter 1. Do kids make parents happy?

부모는 아이 덕분에 행복함을 느낄까?

 

텍사스 주에 사는 제시카씨는 첫 아들 마이클의 출산과 육아에 대해 이렇게 이야기한다.

 

The day he was born I was overcome with a lot of emotion, happiness, just joy ...it’s crazy.

마이클이 태어난 날 많은 감정을 느낄 수 있었습니다. 행복, 기쁨... 진짜 많은 감정을요.

 

So having children makes people happy, right?

그렇다면 확실히 아이가 있는 게 행복하지 않을까?
In the short-term, yes...
단기적으로는? 그렇다....

but in the long-term, not necessarily 

하지만 장기적으로... 꼭 그렇지만은 않다.

...it’s likely Jessica was experiencing what’s known as a happiness bump
제시카씨는 지금 '초기 행복 구간(happiness hump)'을 지나고 있는 셈이다.
Mothers’ happiness levels rise in the years leading up to giving birth... 
출산 후 얼마 안 된 시기인데 이 때 엄마들의 행복 수준은 상승한다.
...but that’s where they peak
하지만 행복감이 가장 높은 이 시기를 지나면
And within a few years, return to the level they were before the kid was born 

몇 년이 지나면 아이를 갖기 이전의 수준으로 다시 돌아간다.

 

 

Chapter 2. Why people used to have more children

그렇다면 왜 사람들은 아이들을 낳고 키운다는 것을 보통으로 여길까?

 

For most of history, people had lots of children...
과거에는 아이들을 많이 낳았는데
...which made financial sense because kids could work in the fields...
주로 경제적인 이유 때문이었다. 당시 아이들은 노동력이었고
...and look after their parents in old age

부모의 노후를 돌봐줄 수 있는 존재였다.

 

But as societies have grown richer there has been a reduction in procreation 
사회가 현대화되고 성장하면서 출산감소하고 있다.

So as we have more countries offering pensions, older adults are less reliant. 

연금을 제공하는 국가들이 늘어나면서 부모들이 과거보다 자식에게 덜 의존하게 되었다.

 

And at the same time, we see more women getting higher levels of education, being employed  

또한 더 많은 여성들이 높은 수준의 교육을 받고 경제활동에 참여하면서

A rise in feminism, a rise in women’s rights and childhood extends... 
페미니즘 부상, 여권 신장 등으로 아동 인권 또한 중요해졌다.
Because we need to educate our children longer... 
예전보다 더 오래 아이를 교육시켜야 하기 때문에
 ...so the costs of raising children go up.
육아 비용이 상승할 수 밖에 없다.

 

Chapter 3. The expense of having kids

출산, 육아 비용 

 

The costs start even before birth. Fertility treatment for those who need it is expensive 
비싼 산전치료 등 임신 단계부터 많은 돈이 든다.
And in some countries, giving birth in a hospital can cost thousands of dollars 
어떤 나라에서는 병원에서 출산하는 것 자체가 수천 달러를 필요로 하고
Then there’s food, clothes, nappies, toys, baby carriers and prams 

아이가 먹는 음식, 옷, 기저귀, 장난감, 포대기, 유모차 등도 전부 필요하다.

 

2022년 기준 미국에서 한 자녀를 키우는 데 드는 비용, 약 28만 달러. 약 3억 6500만원.

 

그럼 여기서 아이가 대학까지 간다? 그러면 41만 달러. 약 5억 3천만원

The Economist has calculated that a typical American family...
이코노미스트에서 미국 한 가구를 기준으로 계산한 결과
...can expect to spend almost $300,000 raising a child to the age of 17 
한 아이를 17세까지 키우는데 약 30만 달러가 들며
Factor in college tuition and it rises to over $400,000 

대학 등록금까지 포함할 경우 40만 달러가 넘는다.

 

 

 

 

2부에 계속!